양적완화 정책으로 과도한 유동성을 유발, 신흥국의 인플레 부담을 가중시킨 선진국에서도 인플레 부담이 가시화되고 있다. 유럽중앙은행(ECB)의 장-클로드 트리셰 총재는 13일 “인플레 진정을 위해 ECB가 뭐든 할 것”이라고 강조해 ECB 통화정책의 비중이 인플레 견제 쪽으로 이동할 것임을 예고했다.
ECB는 이날 첫 정례 금융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1%로 20개월째 동결했다. 그러나 트리셰는 기자회견에서 “중기적 차원에서 인플레 압력이 관리돼야 한다”면서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로선 식품과 에너지 가격이 인플레의 단기적 심화 요인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해 12월의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달에 비해 1.1% 상승해 전문가 예상치 0.8%를 크게 초과하면서 11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 통신은 미국의 인플레가 전반적으로 아직은 미미하지만 PPI가 지난해 전체로 4%나 상승한 점을 지적했다.
PNC 파이낸셜 서비시스의 로버트 다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PPI 상승이 궁극적으로 기업 수익성위축을 예고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직은 기업이 PPI 부담을 판매가격이 전이시키지 않고 있지만 결국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는 세계적인 식품가격 파동이 재현되는 추세임도 상기시켰다.
영국에서도 인플레 우려가 점증하는 상황이다. 영국 중앙은행인 뱅크 오브 잉글랜드(BOE)가 13일 예상대로 기본 금리를 0.5%로 유지했으나 지난해 11월 3.3%에 달한 CPI가 몇 달 안에 4%로 상승할 것으로 관측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BOE가 빠르면 5월께 금리인상에 나설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유지현 기자/prodigy@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