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자산운용이나 재테크에 있어서 위험추구와 안전성 담보는 동전의 양면처럼 등지고있지만 수익률을 위해선 적절한 조합이 필수적이다. 몰빵투자등 특정상품, 분야에 대한 쏠림과 과열은 자칫 쪽박차기 십상이며 다가오는 고령화사회 준비나 위험분산 차원에서 국내는 물론 글로벌 차원의 골고른 분산투자가 요구된다.
즉 한국이 신흥국에서 선진시장으로 업그레이드되고있는 만큼 가계자산 운용도 국내의 울타리를 넘어 글로벌로 투자영토를 넓혀야할 것으로 지적되고있다.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은 최근 신년사에서 “몇몇 종목에 집중된 투기적 거래의 위험성을 시장은 망각하고 있다”면서 “인구 고령화의 문턱에 서 있는 사회에 보다 분산된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제공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박 회장은 그러면서 “무엇보다 지역적으로 분산된 상품을 공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전체 펀드 설정액에서 해외 펀드의 비중은 지난해말 기준으로 약 20%에 그친다. 순자산 규모 면에서도 해외 펀드는 지난해말 현재 57조원으로 최근 5년새 2.5배 불어났지만, 320조원에 육박하는 국내 펀드의 5분의 1 수준이다. 지난 2007년 최고조에 달했던 해외 펀드의 성장세는 미 금융위기로 역풍을 맞았다. 2008년말 해외 펀드의 순자산은 전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중국, 브릭스(BRICs) 등 주요 해외 펀드들의 최근 3년 수익률은 아직 마이너스권이다. 글로벌 분산 투자의 실효성에 고개가 갸우뚱해질 수 있는 부분이다.
해외 펀드가 이처럼 미 금융위기에 속수무책이었던 이유는 지역적으로 편중된 포트폴리오 때문으로 풀이된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해외 펀드의 지역별 투자 비중은 아시아 시장이 73%를 차지하고, 그외 북미, 남미 및 유럽의 경우 6~10% 안팎에 불과하다. 아시아 내에선 중국(홍콩 29% 포함) 비중이 80%에 달했다. 자본시장연구원 이성훈 연구원은 “국제 분산 투자의 이점을 살리려면 지역적 편중을 피하고, 세계 시장의 영향을 덜 받는 국가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동엽 미래에셋투자교육연구소 은퇴교육센터장은 “산업 생산 중심의 경제 구조를 지닌 한국은 원자재값 상승에 취약한 만큼 자원 부국인 브라질, 러시아, 인도네시아 등이 투자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고령화 사회 진입으로 고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한국에 비해 풍부한 젊은층 인구를 바탕으로 장기 성장성이 높은 국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면서 중국, 인도 등을 지목했다.
실제 미래에셋투자교육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5년(2005.5.1~2010.4.30) 한국과 브릭스(BRICs) 지역에 6대 4로 투자했다면 연 수익률 20%를 올리고, 투자 위험률은 23%였다. 이에 비해 한국 시장에 100% 투자한 경우 연 수익률 16%와 위험률 24%로 나타났다. 성과와 위험 관리 면에서 한국과 브릭스에 분산 투자한 포트폴리오가 앞선 셈이다.
펀드완 달리 개인투자자들의 해외주식 직접투자는 빠르게 늘고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해외주식 결제액은 2008년, 2009년 각각 30억 달러(3조3000억 달러)에 머물렀지만 지난해 57억 달러(6조3000억원)으로 증가했고 투자대상국도 미국 홍콩 일변도서 그리스 스페인 아일랜드등 유럽으로 확산되고있다.
글로벌 자산 배분은 세계적인 추세다. 세계 부에 관한 캡 제미니-메릴린치의 공동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 남미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금융자산 100만달러 이상 고액 자산가(HNWI)들의 자국 투자 비중은 전년 대비 4~6%포인트씩 줄었다.
반대로 남미, 아태지역 등 신흥 시장을 중심으로 HNWI의 해외 투자는 확대됐다. 보고서는 세계 부자들의 이런 투자 흐름은 올해도 지속되고, 특히 북미와 유럽 HNWI의 아태지역 투자 비중이 전년 대비 4~5%포인트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김 센터장은 “미국 연기금의 해외 투자 비중은 20%에 육박하고, 세계 주요국 연기금의 국내주식 투자 비중도 최근 10년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라며 “ 국내 연기금의 해외 자산 투자 비중을 20%선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국민연금의 2009년말 기준 전체 해외 부문 투자 비중은 시가 기준 총 적립금의 9.87%에 그쳤다. 또 국내 주식 투자비는 73%로 미국(70%), 호주(65%), 일본(56%), 영국(48%), 캐나다(45%) 등 선진국 대비 높은 편이다.
<김영화 기자 @kimyo78>
bettykim@heraldcorp.com
즉 한국이 신흥국에서 선진시장으로 업그레이드되고있는 만큼 가계자산 운용도 국내의 울타리를 넘어 글로벌로 투자영토를 넓혀야할 것으로 지적되고있다.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은 최근 신년사에서 “몇몇 종목에 집중된 투기적 거래의 위험성을 시장은 망각하고 있다”면서 “인구 고령화의 문턱에 서 있는 사회에 보다 분산된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제공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박 회장은 그러면서 “무엇보다 지역적으로 분산된 상품을 공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전체 펀드 설정액에서 해외 펀드의 비중은 지난해말 기준으로 약 20%에 그친다. 순자산 규모 면에서도 해외 펀드는 지난해말 현재 57조원으로 최근 5년새 2.5배 불어났지만, 320조원에 육박하는 국내 펀드의 5분의 1 수준이다. 지난 2007년 최고조에 달했던 해외 펀드의 성장세는 미 금융위기로 역풍을 맞았다. 2008년말 해외 펀드의 순자산은 전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중국, 브릭스(BRICs) 등 주요 해외 펀드들의 최근 3년 수익률은 아직 마이너스권이다. 글로벌 분산 투자의 실효성에 고개가 갸우뚱해질 수 있는 부분이다.
해외 펀드가 이처럼 미 금융위기에 속수무책이었던 이유는 지역적으로 편중된 포트폴리오 때문으로 풀이된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해외 펀드의 지역별 투자 비중은 아시아 시장이 73%를 차지하고, 그외 북미, 남미 및 유럽의 경우 6~10% 안팎에 불과하다. 아시아 내에선 중국(홍콩 29% 포함) 비중이 80%에 달했다. 자본시장연구원 이성훈 연구원은 “국제 분산 투자의 이점을 살리려면 지역적 편중을 피하고, 세계 시장의 영향을 덜 받는 국가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동엽 미래에셋투자교육연구소 은퇴교육센터장은 “산업 생산 중심의 경제 구조를 지닌 한국은 원자재값 상승에 취약한 만큼 자원 부국인 브라질, 러시아, 인도네시아 등이 투자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고령화 사회 진입으로 고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한국에 비해 풍부한 젊은층 인구를 바탕으로 장기 성장성이 높은 국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면서 중국, 인도 등을 지목했다.
실제 미래에셋투자교육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5년(2005.5.1~2010.4.30) 한국과 브릭스(BRICs) 지역에 6대 4로 투자했다면 연 수익률 20%를 올리고, 투자 위험률은 23%였다. 이에 비해 한국 시장에 100% 투자한 경우 연 수익률 16%와 위험률 24%로 나타났다. 성과와 위험 관리 면에서 한국과 브릭스에 분산 투자한 포트폴리오가 앞선 셈이다.
펀드완 달리 개인투자자들의 해외주식 직접투자는 빠르게 늘고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해외주식 결제액은 2008년, 2009년 각각 30억 달러(3조3000억 달러)에 머물렀지만 지난해 57억 달러(6조3000억원)으로 증가했고 투자대상국도 미국 홍콩 일변도서 그리스 스페인 아일랜드등 유럽으로 확산되고있다.
글로벌 자산 배분은 세계적인 추세다. 세계 부에 관한 캡 제미니-메릴린치의 공동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 남미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금융자산 100만달러 이상 고액 자산가(HNWI)들의 자국 투자 비중은 전년 대비 4~6%포인트씩 줄었다.
반대로 남미, 아태지역 등 신흥 시장을 중심으로 HNWI의 해외 투자는 확대됐다. 보고서는 세계 부자들의 이런 투자 흐름은 올해도 지속되고, 특히 북미와 유럽 HNWI의 아태지역 투자 비중이 전년 대비 4~5%포인트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김 센터장은 “미국 연기금의 해외 투자 비중은 20%에 육박하고, 세계 주요국 연기금의 국내주식 투자 비중도 최근 10년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라며 “ 국내 연기금의 해외 자산 투자 비중을 20%선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국민연금의 2009년말 기준 전체 해외 부문 투자 비중은 시가 기준 총 적립금의 9.87%에 그쳤다. 또 국내 주식 투자비는 73%로 미국(70%), 호주(65%), 일본(56%), 영국(48%), 캐나다(45%) 등 선진국 대비 높은 편이다.
<김영화 기자 @kimyo78>
bettykim@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