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각국 명칭유래 소개
역사적인 혁명에는 대부분 독특한 이름이 붙는다. 최근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을 휩쓸고 있는 민주화 혁명 가운데 튀니지의 ‘재스민혁명’ 외에는 아직 이렇다 할 이름이 붙지 않았다. 3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혁명에 붙는 이름이 쉽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며 각국 혁명 이름의 유래 등을 소개했다.
오래전 발생한 혁명에는 미국혁명, 프랑스혁명, 러시아혁명 등 단순명료하게 나라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최근 발생한 혁명에는 꽃, 색깔 등 다양한 이름이 붙고 있다.
1989년 체코혁명은 소비에트 체제가 부드럽게 무너졌다는 의미에서 ‘벨벳혁명’이라고 명명됐다. 1986년 필리핀 민주화는 ‘피플파워 86’이라고 불렸고, 1972년 포르투갈 혁명에는 최초로 카네이션이라는 꽃 이름이 붙여졌다. 당시 쿠데타를 일으킨 혁명군의 가슴에 시민이 카네이션을 달아주며 지지를 표시한 데서 유래했다.
최근 아랍지역 민주화 시위의 도화선이 된 튀니지혁명은 튀니지 국화를 따 ‘재스민혁명’이라고 불린다. 하지만 파키스탄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도 최근 민주화 시위를 ‘재스민(중국명 모리화)혁명’이라고 부르고 있다.
2003년 그루지아에서 발생한 부정선거 규탄 시위는 ‘장미혁명’이다. 2009년 이란에서 발생한 반정부 시위는 이슬람의 상징인 녹색을 따 ‘그린혁명’이라고 한다.
2005년 키르기스스탄 반정부 시위 당시 시위 지도자 중 한 명인 에딜 바이사로프는 “처음에는 벨벳혁명을 본떠 실크혁명이라 하려고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결국 튤립혁명으로 정리됐는데, 튤립은 키르기스스탄에서 유래돼 네덜란드로 전해졌다.
우크라이나의 경우 2004년 발생한 시민혁명은 ‘오렌지혁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당초 이 혁명은 수도 키예프의 상징인 밤나무를 따 ‘밤나무(chestnut)혁명’이라고 했었는데, 이는 별 감흥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왔다. 결국 이 혁명은 당시 빅토르 유첸코가 이끌던 야당의 상징색인 오렌지혁명으로 정리됐다.
신수정 기자/ssj@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