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일본·중국 등 인접국 원전이 더 위험
일본 후쿠시마 원전의 환우(患雨)는 과연 내릴 것인가. 원전 방사선 물질의 대기 검출과 1만5000톤의 오염수 바다 방류로 한반도가 연일 초비상이다. 그런데도 인접국인 한국에 대한 일본의 무성의한 태도는 별로 달라진 게 없다. 늑장 설명에 한국 측 현장 접근을 막는 등 신경질적 반응이다. 한국의 입장을 전혀 배려하지 않는 것이다. 사후약방문 격으로 6일 일본이 사과하고 주변국들과의 협력 다짐을 했지만 구체성은 없다. 마땅히 현실감 있는 공동대응 노력을 보여야 한다. 우리 정부 역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본과 최소한의 정보채널조차 확보하지 못했다.
나아가 중국은 더 큰 골칫덩어리다. 현재 가동 중인 원전 13기, 건설 중인 27기, 여기에 추가로 건설할 188기를 합하면 중국은 총 228기의 원전대국이다. 한국 21기, 일본 55기를 감안할 때 가히 위협적 수준이다. 특히 지리적 근접성에서 전체의 70% 이상이 랴오닝 성을 비롯 산둥, 저장, 허난, 후난성 해안에 위치해 초속 10m의 편서풍이 불면 불과 24시간 내 방사성 물질이 한반도에 도달하게 된다. 치명적이다. 게다가 가동 중인 원전은 대부분 1980년대 이전 설계된 2세대 가압경수로(PWR)로 냉각수조가 외부에 설치돼 있다. 쓰나미 등 외부 위험에 노출, 극히 취약한 구조다. 고작 17년의 원전 운영경험을 갖고 사고에 신속 대응이 가능할지 회의적인 것이다. 사고가 한번 났다 하면 한반도는 속수무책이다. 중국은 지난해에도 2건의 원전 사고를 쉬쉬하다 한참 지난 뒤에 공개했다. 이런 마당에 화산 대폭발 가능성이 제기된 백두산 인근에 새 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 원전의 안전가동과 증설계획만을 우려할 때가 아닌 것이다.
당장 한ㆍ중ㆍ일 3국이 원전안전 정보채널 구축과 협의체 구성에 나서야 한다. 새 원전 건설은 물론 운영 정보와 사고 시 대처방안 등을 수시로 논의해 방사성 물질 확산경로, 이동경로, 농도 등 상세한 정보를 공유해야 하는 것이다. 동북아 3국의 근거리 지역특성상 국제원자력기구(IAEA)에만 맡겨놓을 일이 아니다. 지역별 원전 공동대처를 위한 발상의 전환과 외교적 노력이 절실하다. 아울러 우리 환경단체도 무조건적인 우리 원전 안전문제 제기에서 사고 위험이 큰 중국 등 인접국 원전에 더 관심을 갖기 바란다. 한국은 지금 304기의 동북아 핵 고리에 포위돼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