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여당 간사인 김희정 의원은 9일 오전 MBC라디오에 출연해 “역사교육은 통일성이 필요하다. 최종 판단은 국민이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와 최경환 원내대표의 ‘국가 공인 역사교과서가 필요하다’는 발언과 같은 맥락이다. 김 의원은 그러나 국정교과서 체제에 대해선 “당의 공식 입장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청와대도 국정교과서로 체제 전환에 긍정적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념적 편향과 혼란을 막기 위해 국정교과서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반면 전병헌 원내대표는 9일 오전 고위정책회의에서 “역사교과서의 국정교과서 환원은 교학사 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만들겠다는 역주행이고, 독선적ㆍ유신회귀적 발상이다. 독재적이고 독선적 인식”이라며 “새누리당과 정부는 역사에 이념논쟁을 끌어들이지 말라”고 말했다.
역사교과서 문제는 정치권에서 좌우 이념 대립의 ‘단골 소재’다. 2004년 권철현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의원이 금성출판사를 ‘반미ㆍ친북ㆍ반재벌 교과서’라 지적하면서 이념 갈등은 촉발됐고, 지난해 말에는 국사편찬위원장에 ‘건국 대통령 이승만’의 저자 유영익 씨가 임명되자 야권이 집중 공격에 나서기도 했다.
‘개헌 논란’ 역시 이념 대립으로 비화할 공산이 큰 소재다. 지난 8일 ‘개헌이 필요하다’는 이재오 의원의 주장을 서청원 의원이 ‘이명박정부 때도 안 했다’며 정면으로 들이받은 것을 계기로 파열음이 커지는 상황이다. 특히 개헌추진위원회에 이미 새누리당 의원 56명이 서명을 한 상태여서 여당 내에서 ‘개헌파와 반개헌파’의 갈등 가능성도 배제키 어렵다.
현재 개헌 논의의 중심엔 대통령제를 ‘4년 중임제’ 또는 ‘내각제’ 등으로 수정하는 권력구조 개편안이 중점적으로 오가고 있지만 실제로 개헌 논의가 본격화할 경우 추가적으로 어떤 논의로 확산될지는 확답하기 어렵다.
이 외에도 지방선거가 있는 6월 전까지는 곳곳에 휘발성 강한 ‘이념 이슈’가 산재해 있다. 내란음모 혐의로 기소된 이석기 통합진보당 의원의 1심 선고가 늦어도 2월 중순께 이뤄질 전망이고,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원세훈ㆍ김용판’의 1심 선고도 다음달께 가능하다. ‘통합진보당 정당 해산심판청구’ 역시 이르면 5월께 결정날 전망이다.
이정희 한국외대 교수는 “역사교과서 문제나 통합진보당 해산,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폐기 관련 법원의 판단이 나올 때마다 선거 주요 쟁점으로 떠오를 것”이라며 “보수와 진보 간 이념 갈등을 이용하는 정치권이 있는 이상 지방선거 전까지 이념 논쟁은 첨예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홍석희ㆍ이정아 기자/hon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