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급매 빠지고, 가격 올리고’ 돈 몰리는 서울 아파트 상승폭 확대[부동산360]
부동산원, 5월 넷째주 아파트 가격 동향 발표
전세시장 매물 부족…신축→구축 상승세 확산
남산에서 본 서울 시내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고은결 기자] 서울 아파트값이 10주 연속 오르면서 상승 폭을 확대하고 있다. 전세시장은 매물 부족 현상으로 1년 넘게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3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5월 넷째 주(27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1%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전국 아파트값은 지난주 26주 만에 상승 전환한 데 이어 2주째 올랐다. 수도권(0.02%→0.03%)과 서울(0.05%→0.06%)은 상승 폭이 다소 커졌지만, 지난주 보합 전환했던 지방(0.00%→-0.01%)은 다시 하락 전환했다.

서울은 이번 주 0.06% 오르며 10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성동구가 행당·옥수동 역세권 및 대단지 위주로 0.19% 오르며 지난주에 이어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고, 종로구(0.13%), 서초구(0.11%), 강남구(0.09%), 용산구(0.09%), 동작구(0.09%) 등의 상승률도 평균을 넘어섰다. 지난주 하락세를 벗어난 노원구(0.00%)와 도봉구(0.00%)는 이번 주에도 보합을 유지하는 등 서울의 25개 자치구가 모두 보합 혹은 상승했다.

부동산원은 “지역·단지별로 혼조세를 보이는 가운데 주요 관심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는 꾸준히 유지되는 상황”이라며 “저가 매물 소진 이후 매도 희망 가격이 상승하고 일부 상승거래가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부동산원]

전주 대비 0.06% 오른 인천에서는 영종도 내 중산·운서동 위주로 오름세를 보인 중구(0.19%)의 상승 폭이 특히 컸다. 지난주 0.01% 하락했던 경기는 보합(0.00%) 전환했다. 신축 입주 물량이 늘어난 안성시(-0.13%)와 평택시(-0.10%)가 비교적 큰 폭으로 하락했다. 반면 안양 동안구(0.17%)는 비산·호계동 위주로, 성남 분당구(0.11%)는 정자·서현동 위주로, 수원 영통구(0.11%)는 주거환경 및 교통 여건이 양호한 영통·망포동 위주로 상승했다.

지방은 전북(0.07%), 충남(0.04%), 강원(0.03%) 등은 상승했지만, 제주(-0.06%), 대구(-0.06%), 경남(-0.04%), 부산(-0.03%), 전남(-0.02%) 등은 하락했다.

전세시장은 상승 기조를 이어갔지만, 상승 폭은 전주에 비해 다소 줄었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0.07%) 대비 0.02%포인트 줄어든 0.05%의 상승률을 보였다. 수도권(0.12%→0.11%)은 상승 폭이 다소 줄었고, 지방(0.02%→-0.01%)은 하락 전환했다.

다만 서울은 0.10% 오르며 전주와 상승 폭이 동일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작년 5월 넷째 주 이후 1년 넘게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부동산원은 “정주 여건이 양호한 신축·대단지 위주로 매물이 부족하고 대기수요가 꾸준히 유지되며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인근 구축 단지에서도 상승 거래가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천은 이번 주 0.21% 오르며 전주(0.22%)에 이어 높은 상승률을 유지했다. 경기 지역 전셋값 변동률은 0.11%에서 0.09%로 다소 줄었다. 지방에서는 울산(0.03%), 충남(0.03%), 전북(0.03%), 충북(0.02%), 부산(0.01%), 광주(0.01%) 등은 상승했지만, 대구(-0.08%), 제주(-0.04%), 경북(-0.03%) 등은 하락했다.

k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