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경기도 미분양 급증…전국 미분양 7만가구 넘었다 [부동산360]
대구, 경기도 순으로 미분양 많아
1∼4월 인허가 21% 줄었지만
착공 30%·준공 25% 각각 증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고은결 기자] 지방 분양 시장의 침체 여파로 전국 미분양 주택이 1년 만에 다시 7만가구를 돌파했다. 악성 미분양 주택은 9개월 연속 늘어 1만3000가구에 육박했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4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1997가구로 집계됐다. 지난 3월보다 10.8%(7033가구) 늘어나며 5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미분양 주택이 7만가구를 넘어선 것은 지난해 4월(7만1365가구) 이후 1년 만이다. 지방 미분양(5만7342가구)이 전체 미분양의 80%가량을 차지한다.

4월 미분양 증가세는 수도권에서 두드러졌다. 경기(1119가구)와 인천(1519가구)에서 1000가구 이상 미분양이 발생했다. 경기 미분양 주택은 이천과 평택 위주로 쌓여 총 9459가구로, 대구(9667가구) 다음으로 미분양이 많은 곳이 됐다. 경기 미분양이 9000가구대까지 늘어난 것은 2017년 7월(9560가구) 이후 6년 9개월 만이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만2968가구로 전월보다 6.3%(744가구) 늘었고, 지난해 8월부터 9개월째 증가세다. 악성 미분양은 경남(1684가구), 대구(1584가구), 전남(1302가구), 경기(1268가구) 등 순으로 많이 쌓였다.

주택 공급 선행지표인 인허가는 여전히 부진하지만, 착공과 분양은 회복세를 보였다. 4월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2만7924가구로 1년 전보다 15.9% 줄었다. 올해 1∼4월 누계 인허가도 10만2482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1.1% 줄었다. 특히 비아파트 인허가 감소 폭은 아파트의 2배였다. 1∼4월 아파트 누계 인허가는 9만652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8.2% 줄었고, 비아파트는 1만1830가구로 37.7% 감소했다.

전국 주택 착공은 지난달 4만3838가구로 1년 전보다 275.9% 급증했다. 1∼4월 누계 착공은 8만9197가구로 29.6% 늘었다. 아파트 누계 착공은 7만7959가구로 46.3% 증가했지만, 비아파트는 27.6% 감소했다. 4월 분양(승인 기준)은 2만7973가구로 86.3% 늘었다. 1∼4월 누계 분양은 7만661가구로 80.1% 증가했다. 국토부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 확대 등 정책 효과로 착공, 분양이 증가한 것으로 봤다.

4월 준공은 2만9046가구로 12.7% 줄었고, 1∼4월 누계 준공은 15만4188가구로 24.5% 늘었다. 누계 기준으로 아파트 준공이 40.9% 늘었지만, 비아파트는 40.4% 감소했다. 4월 주택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5만8215건으로 전월보다 10.2% 늘었다.

주택 거래량은 작년 12월부터 5개월째 늘었다. 수도권 주택 거래량은 2만7124건으로 전월보다 19.4% 늘었고, 지방(3만2091건)은 3.3% 증가에 그쳤다. 4월 주택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24만5405건으로 전월보다 1.0% 줄었지만, 1년 전보다는 11.9% 늘었다.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은 4월 11만5697건으로 전월보다 5.1% 늘었지만, 비아파트(12만9708건)는 6.0% 감소했다.

k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