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매번 거절 당한 추경호, ‘7개 상임위원장’ 최종 결단은?[이런정치]
당내 이견 팽팽, ‘강경 노선’ 대 ‘여당 책임감’
추경호, 주말 숙고 후 24일 최종 결정 내리기로
‘민주당 독식’ 역풍 가능성, 7개 상임위원장 포기할 수도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9일 오전 국회에서 원구성 관련 백브리핑을 하고 있다. 이날 추 원내대표는 더불어민주당에게 “법제사법위원회와 운영위원회를 1년씩 순차적으로 맡는 안을 공개 제안한다”고 밝혔다. [연합]

[헤럴드경제=이승환 기자] 공개 토론, 1년 후 교체 등 상임위원장 배분과 관련한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제안은 매번 더불어민주당에게 거절 당했다. 민주당은 18개 상임위원장 자리 가운데 11개를 차지한 후 나머지 7개 상임위원장을 국민의힘 몫으로 남겨둔 상태다. 국민의힘은 법제사법위원장과 운영위원장을 모두 차지한 민주당의 일방적인 ‘원 구성’에 반발하고 있다. 추 원내대표는 오는 24일 민주당이 남겨둔 7개 상임위원장의 수용 여부를 최종 결정할 방침이다.

22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7개 상임위원장 수용 여부를 놓고 이견이 팽팽하다. 민주당의 독단적인 원 구성에 협조할 수 없다며 7개 상임위원장 자리를 거부하자는 강경 노선과 국정운영을 입법적으로 뒷받침해야 하는 여당 입장에서 책임감을 강조하며 7개 상임위원장이라도 맡아야 한다는 의견이 맞붙는 형국이다.

실제 전날 의원총회 후 추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여전히 아주 강한 입장을 견지하면서 말씀을 해주신 분도 다수 있으셨고, 많은 분들께서는 우리가 여당으로서 책임 있는 활동과 자세를 보일 때가 됐다고 하셨다”며 “의원들로부터 충분한 의견을 들었기 때문에 막바지 고심하는 시간을 갖고, 다음 주 월요일 오전 의원총회에서 최종적인 방향을 정하겠다”고 말했다.

추경호 국민의힘 (왼쪽),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5일 오전 국회에서 원 구성 등을 논의하기 위해 회동하고 있다. [연합]

그간 추 원내대표는 원 구성 협상을 원점에서 재논의하기 위해 다양한 제안을 했다. 하지만 민주당은 거절했다.

우선 추 원내대표는 지난 14일 여야 원내대표가 국민 앞에서 원 구성 협상 관련 1대 1 공개 토론을 하자고 제안했다. 법사위·운영위 등 11개 상임위원장을 야당이 단독 선출한 것을 백지화해야 협상을 재개할 수 있다는 취지였다.

앞서 국민의힘은 지난 10일 밤 국회 본회의에서 민주당 등 야당 단독으로 11개 상임위원장 선출이 이뤄진 이후 여야 원 구성 협상 불참을 선언하고 11일부터 나흘 연속 의총을 열어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그 결과로 추 원내대표는 공개토론 카드를 제시한 것이다.

당시 추 원내대표는 “의회 정치 원상 복구는 잘못된 원 구성을 전면 백지화하는 것부터 시작돼야 한다”며 “원 구성 협상을 주제로 국민 앞에서 공개 토론을 제안한다. 어떤 형태로든 환영하며 답변을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공개토론이 무산된 후에는 법사위원장과 운영위원장을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1년씩 순차적으로 맡자는 제안을 내놨다.

추 원내대표는 19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이 이재명 대표 구하기 등의 이유로 도저히 수용하기 어렵다면 법사위와 운영위를 앞의 1년은 민주당이 맡고, 다음 1년은 국민의힘이 맡자”며 “전향적인 검토와 수용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민주당이 우리의 여러 제안을 거부해 왔다. 협치는 대화와 양보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또 수정 제안을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 중단’을 조건으로 제시하며 맞불을 놨다.

우원식 국회의장과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5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한국일보 창간 70주년 기념식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

정치권 일각에서는 원 구성 협상을 재개하기 위한 추 원내대표의 제안들이 계속 막히면서 마지막 카드로 추 원내대표가 직을 던질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원내대표 사퇴의사를 밝히면서 원 구성 협상 파트너인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를 정치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추 원내대표의 앞선 발언을 고려하면 나머지 7개 상임위원장을 받지 않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분석도 나온다. 민주당의 독단적인 원 구성이 정치적 역풍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정무적 판단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추 원내대표는 지난 3일 22대 국회 원 구성 협상과 관련해 “민주당은 남의 것을 다 빼앗아 혼자 무리하게 드시면 큰 배탈이 난다는 것을 명심하라”며 “민주당은 원 구성 협상에서 힘 자랑하며 떼쓰는 정치는 그만하길 바란다”고 지적했다.

nic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